
Fluent란?
Fluent는 스위프트의 ORM 프레임워크이다. ORM이란 Object Relational Mapping의 약자로,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언어인 Swift에서는 클래스를 사용하고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는 테이블 구조를 사용하는데, ORM은 이를 자동으로 Mapping 해주는 것을 뜻한다.
Fluent를 사용하면 DB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네는 모델을 생성할 수 있고, CRUD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Fluent 시작하기
Vapor에서 Fluent를 사용하기 위해선, 패키지에 의존성을 추가해야 한다.
의존성을 추가하는 것은 Fluent Doc에 자세히 나와있으니 참고하면 좋을 것 같다.
https://docs.vapor.codes/fluent/overview/
위의 방법말고 더 좋은 방법이 있는데
Vapor 프로젝트 생성 시 Fluent를 사용할 것이냐고 묻는다.
이때 y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패키지에 의존성을 추가해준다.
Fluent와 같이 사용할 DB를 선택해야한다. Fluent에서 지원하는 DB는 MySQL, SQLite, MongoDB, PostgreSQL이 있는데,
나는 PostgreSQL을 사용할 것이다. 다음 글에서는 PostgreSQL에 대해서 다루겠다.
'iOS > Vapor' 카테고리의 다른 글
[Vapor/Databse] CRUD 기능 구현하기 (1) | 2023.10.21 |
---|---|
[Vapor/Database] Fluent Migration (0) | 2023.10.20 |
[Vapor/DataBase] Fluent 모델 (0) | 2023.10.19 |
[Vapor/Database] PostgreSQL 시작하기 (1) | 2023.10.18 |
[Vapor/Server] Vapor 시작하기 (1) | 2023.10.16 |

Fluent란?
Fluent는 스위프트의 ORM 프레임워크이다. ORM이란 Object Relational Mapping의 약자로,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언어인 Swift에서는 클래스를 사용하고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는 테이블 구조를 사용하는데, ORM은 이를 자동으로 Mapping 해주는 것을 뜻한다.
Fluent를 사용하면 DB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네는 모델을 생성할 수 있고, CRUD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Fluent 시작하기
Vapor에서 Fluent를 사용하기 위해선, 패키지에 의존성을 추가해야 한다.
의존성을 추가하는 것은 Fluent Doc에 자세히 나와있으니 참고하면 좋을 것 같다.
https://docs.vapor.codes/fluent/overview/
위의 방법말고 더 좋은 방법이 있는데
Vapor 프로젝트 생성 시 Fluent를 사용할 것이냐고 묻는다.
이때 y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패키지에 의존성을 추가해준다.
Fluent와 같이 사용할 DB를 선택해야한다. Fluent에서 지원하는 DB는 MySQL, SQLite, MongoDB, PostgreSQL이 있는데,
나는 PostgreSQL을 사용할 것이다. 다음 글에서는 PostgreSQL에 대해서 다루겠다.
'iOS > Vapor' 카테고리의 다른 글
[Vapor/Databse] CRUD 기능 구현하기 (1) | 2023.10.21 |
---|---|
[Vapor/Database] Fluent Migration (0) | 2023.10.20 |
[Vapor/DataBase] Fluent 모델 (0) | 2023.10.19 |
[Vapor/Database] PostgreSQL 시작하기 (1) | 2023.10.18 |
[Vapor/Server] Vapor 시작하기 (1) | 2023.1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