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주차에 전반적인 기획을 마무리하고 각 팀별로 나누어 작업을 진행했다. 나는 예비군 때문에 실질적으로 금요일과 토요일 이틀만 작업에 참여할 수 있었다. 나는 작업을 크게 네 가지로 나누어 진행했다. 첫째, iOS 팀의 남은 한 자리를 채우기 위해 팀원을 모집했다. 둘째, 코드 및 커밋 컨벤션을 작성했다. 셋째, 프로젝트 세팅에 대해 구상했다. 넷째, 개인적으로 부족한 부분을 학습했다. 코드 컨벤션🍎우협하 iOS 코드 컨벤션 나는 우리 iOS 팀의 코드 컨벤션을 작성했다. 주된 이유는 세 가지이다. 첫째, 팀 전체의 코드 스타일 일관성을 유지하여 가독성과 유지보수성을 높이고자 했다. 둘째, 새로 합류하는 팀원이 프로젝트에 빠르게 적응할 수 있도록 명확한 기준을 제시하고자 했다. 마지막으로, 코드 리뷰..
모집 글을 올린 지 일주일 반 만에 팀원 모집이 마무리 되었다.(iOS 한분 더 구해야하지만..!) 팀이 구성된 후, 우리는 빠르게 기획 회의를 진행했다. 일주일이라는 짧은 시간 동안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었는데, 팀 내에 현업에서 일하고 계신 분이 계셔서 실제 업무 환경에서 사용되는 협업 프로세스를 경험할 수 있었다. 산만한 기획 회의를 경험하다. 우리 팀에는 기획자가 없기 때문에, 모든 팀원이 기획에 참여하기로 했다. 첫 번째 기획 회의에서는 기획 경험 부족으로 회의를 어떻게 주도해야 할지 막막했다. 이로 인해 초기 회의들은 다소 산만하고 체계가 없이 진행되는 경향이 있었다. 특히 2~3번째 기획 회의에서 이러한 문제점이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나, 회의가 너무 두서없이 진행되고 정리가 되지 않는다는 느..
ReactorKit ?리액터킷은 반응형 프로그래밍 프레임워크로, 단방향 데이터 흐름을 가진 앱을 위한 Kit이다. 단방향 데이터 흐름을 통해 앱의 상태 변화와 사용자 인터랙션을 명확하게 관리하며, 뷰와 비즈니스 로직을 명확하게 분리하여 코드의 가독성과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킨다. ✅ View :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담당한다.✅ Reactor : 비즈니스 로직과 상태 관리를 담당한다.✅ Action : 사용자 인터랙션이나 외부 이벤트를 나타낸다.✅ State : 현재 앱의 상태를 나타낸다.✅ Mutation : 상태 변경을 정의한다. View✔️ UIView가 아니라 ViewController와 Cell이 View로 취급된다.✔️ View는 View와 StoryboardView 프로토콜을 채택해야한다. ✔️..
SwiftUI에서 Stack은 UI요소를 그룹화하고 배치하는 데 사용되는 기본적인 레이아웃 컨테이너이다. HStack (Horizontal Stack)SwiftUI에서 사용되는 수평 스택이다. ✅ 자식 뷰를 수평으로 배열한다.✅ 기본적으로 중앙 정렬되지만, alignment 매개변수로 변경 가능하다.✅ spacing 매개변수로 요소 간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주로 가로로 나열된 UI요소들(ex: 툴바, 버튼 그룹 등)을 만들 때 사용된다. .top : 자식 뷰들을 HStack의 상단에 정렬한다..center : 자식 뷰들을 HStack의 수직 중앙에 정렬한다..bottom : 자식 뷰들을 HStack의 하단에 정렬한다..firstTextBaseline : 텍스트의 첫 번째 기준선을 기준으로 정렬한다..